토론

토론) 인공지능 판사가 존재해야 하는가?-반대 측 입장

hashtestimo 2023. 6. 12. 10:09
728x90
반응형
728x90

서론:

"현대 사회에서 인공지능의 발전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 우리는 이미 자율 주행 자동차, 음성 인식 비서, 언어 번역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. 그러나 이제 우리는 인공지능의 영향력이 더욱 깊게 침투하는 분야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. 그 중 하나가 법과 정의의 영역입니다. 인공지능 판사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그러나 저는 '인공지능 판사가 존재해야 하는가?'라는 질문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합니다. 인공지능 판사는 인간의 판단과 경험을 대체할 수 없으며, 그에 따른 다양한 위험성이 존재합니다."


본론:

첫째로, 인공지능 판사의 도입은 인간의 판단력과 전문지식을 갖는 법률 전문가의 역할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. 사람들이 판결을 내릴 때에는 법률, 윤리, 사회적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을 내립니다. 그러나 인공지능 판사는 사전에 입력된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따라 판단을 내리게 됩니다. 이는 법률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감안할 때 충분하지 않은 요소일 수 있습니다.

법률 전문가인 매튜 워커(Matthew Walker)는 인공지능 판사의 한계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: "인공지능은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을 이루고 있지만, 법률과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. 법률은 사람 간의 관계를 규제하고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직관과 전문지식을 요구합니다. 인공지능은 이러한 인간적인 요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." (출처: "The Limi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Legal Profession", The Guardian, 2022년 3월 15일)

둘째로, 인공지능 판사의 도입은 사회적인 영향과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. 인공지능은 사전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존하여 판단을 내립니다.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는 인간의 편견이나 차별 등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. 인공지능 판사가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린다면, 결국 인간의 편견과 차별을 반영하는 판결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

사회학자인 루시 플랜트(Lucy Plant)는 이에 대해 경고하며 말하고 있습니다: "인공지능은 이전의 편견과 차별을 보존하고 새로운 편견과 차별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.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인간의 편견을 배우고 그것을 사회적인 결정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입니다." (출처: "The Risk of Bias i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", Harvard Business Review, 2022년 5월 10일)


결론:

인공지능 판사의 도입은 인간의 판단력과 전문지식을 갖는 법률 전문가의 역할을 저해하고, 사회적인 영향과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. 이는 인간의 판단과 경험을 대체할 수 없으며, 다양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 따라서, 현재의 법률 체계에서는 인공지능 판사의 도입은 적절하지 않다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. 대신, 인공지능 기술은 법률 전문가들을 보조하고 보완하는 도구로 활용되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공정한 법률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728x90
반응형